•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조선, 이렇게 기록됐다···‘서양인이 그린 우리땅 우리삶’

등록 2017.10.23 16:21:01수정 2017.10.23 16:50:1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 신동립 기자 = 말을 탄 헤르만 산더, 1906년. 성진에서 길주로 가던 산더가 장승 옆을 지나고 있다. 마부는 조선인 통역관인 듯하며 산더는 무엇인가를 기록 중이다.

【서울=뉴시스】 신동립 기자 = 말을 탄 헤르만 산더, 1906년. 성진에서 길주로 가던 산더가 장승 옆을 지나고 있다. 마부는 조선인 통역관인 듯하며 산더는 무엇인가를 기록 중이다.

【서울=뉴시스】 신동립 기자 = ‘서양인이 그린 우리 땅, 우리 삶’이 27일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 제2전시실에서 개막한다. 국립민속박물관과 경희대 혜정박물관의 K뮤지엄스 공동기획전이다.

옛 조선의 모습을 담은 서양인의 텍스트·영상 기록과 더불어 황실의사 알렌이 사용한 반짇고리, 고종황제 하사 족자(등록문화재 제656호) 등 130여점이 나온다.

서양인의 기록에 우리나라가 나타난 것은 13세기께다. 그들에게 이 땅은 미지의 ‘솔랑기’였다. 무지개라는 의미의 만주·몽골어가 솔랑기다. 프랑스 역사학자 르네 그루세의 저서 ‘몽골제국’에 수록된 1217년 몽골지도에 처음 등장한다. 몽골식 우리나라 명칭을 그대로 기재했다.

【서울=뉴시스】 우리나라와 일본 지도, 1595년. 조선과 일본만을 표현한 최초의 서양지도다. 조선을 ‘Corea Insvla’라는 명칭의 길쭉한 섬으로 그렸다.

【서울=뉴시스】 우리나라와 일본 지도, 1595년. 조선과 일본만을 표현한 최초의 서양지도다. 조선을 ‘Corea Insvla’라는 명칭의 길쭉한 섬으로 그렸다.

이후 우리나라를 직접 탐사하면서 좀 더 상세한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 정보로 지형을 그리고, 조선의 주변국 정세를 살펴 기록했다. 개항 후에는 여행, 선교, 외교, 학술연구 등 여러 목적으로 들어와 활동했다. 누군가는 아름다움과 밝은 미래상, 또 다른 이는 급변하는 국제정세에 휘말린 대한제국의 비극을 기술했다.

전시는 ‘땅을 그리다’로 출발한다. 서양인이 제작한 다양한 우리나라 지도를 시기별로 보여준다. 우리나라의 모습이 명확하지 않은 16세기께 것부터 1737년 당빌이 만든 ‘조선왕국전도’처럼 비교적 정확하게 표현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이는 곧 조선에 관한 인식의 구체화 과정이다. ‘조선과 일본지도’(테이세이라·오르텔리우스·1595), ‘중국제국지리첩’(뒤알드·1738) 같은 귀중본 외에도 ‘세계일주 항해기’(라페루즈·1797) 등의 기록자료를 함께 볼 수 있다.

【서울=뉴시스】 상주, 1906~1907년 헤르만 산더가 수집한 자료. 방갓을 쓴 상주의 모습을 찍었다. 개항기 조선을 찾은 서양인은 상례 사진이나 삽화를 많이 남겼다. 생소한 의례가 호기심을 자극했으리라는 추측이다.

【서울=뉴시스】 상주, 1906~1907년 헤르만 산더가 수집한 자료. 방갓을 쓴 상주의 모습을 찍었다. 개항기 조선을 찾은 서양인은 상례 사진이나 삽화를 많이 남겼다. 생소한 의례가 호기심을 자극했으리라는 추측이다.

‘정세를 기록하다’로 이어진다. 19세기 후반 조선과 대한제국의 시대 상황과 주변 정세를 기록한 자료를 내놓는다. 당시 조선은 열강의 통상·수교 압박, 자국에게 이익이 되는 국제질서 확립을 위한 열강 간의 각축으로 온갖 수난을 겪었다. 서양인 각자의 시각으로 당대 상황을 기록으로 남겼다. 산더의 ‘러일전쟁보고서’와 일기·사진, 매켄지의 ‘대한제국의 비극’ 등을 마주할 수 있다.

‘삶을 묘사하다’로 마무리한다. 조선 사람들의 삶과 문화를 서양인의 시각으로 쓴 서적, 사진, 삽화, 영상 등을 전시한다. 조선으로 온 서양인들은 현지의 문화, 언어, 복식을 자세하게 기록해 자국에 보고했다. 때로는 생경하고, 때로는 매력적으로 표현돼 있다. 외교관이자 선교사, 왕실 의사로 활약한 알렌의 ‘조선견문기’(1908), 게일의 ‘전환기의 조선’(1909), 자쿨레·키스의 조선 생활문화 목판화도 볼 수 있다. 가톨릭 베네딕도회 신부인 베버가 촬영한 무성영화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도 관람 가능하다.

【서울=뉴시스】 조선왕국 전도, 1737년. 당빌이 제작한 것으로 서양에서 발간된 첫 조선 전도다. 우리나라를 ‘CORÉE’라고 표기했다. 청나라 강희제의 명령으로 이뤄진 예수회 선교사들의 측량(1709~1716) 자료가 프랑스로 전해지면서 나온 것이다. 이후 서양 발간 한국지도의 모본이 됐다.

【서울=뉴시스】 조선왕국 전도, 1737년. 당빌이 제작한 것으로 서양에서 발간된 첫 조선 전도다. 우리나라를 ‘CORÉE’라고 표기했다. 청나라 강희제의 명령으로 이뤄진 예수회 선교사들의 측량(1709~1716) 자료가 프랑스로 전해지면서 나온 것이다. 이후 서양 발간 한국지도의 모본이 됐다.

황주호 혜정박물관장은 “혜정박물관의 특성이 담긴 다양한 활동들이 자리매김하게 되기를 바란다”고 기대했다. 천진기 국립민속박물관장은 “서양인들이 남긴 자료를 통해 낯선 문명과의 충돌 속에서 변화를 거듭한 우리의 이야기를 타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며 공유하는 자리다. 이들이 남긴 개항기 조선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들 속에서 우리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서양인이 그린 우리 땅, 우리 삶’은 2018년 2월28일까지 계속된다.

【서울=뉴시스】 신부, 일제강점기, 폴 자쿨레의 다색목판화. 전통 혼례복을 입은 조선인 신부의 모습이다. 얼굴은 서양인처럼 묘사했다.

【서울=뉴시스】 신부, 일제강점기, 폴 자쿨레의 다색목판화. 전통 혼례복을 입은 조선인 신부의 모습이다. 얼굴은 서양인처럼 묘사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